플러터(Flutter)

Flutter - 스트림. 다트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

에드 신 2018. 10. 25. 13:13
반응형
Flutter - 스트림. 다트에서 비동기 프로그래밍

목차

    1. 스트림이란?
    • 스트림 간단한 예제
    • 스트림 다양하게 처리하기
    1. 스트림 내부 구조
    • 서브스크립션
    • 브로드 캐스트
    1. 스트림 컨트롤러

1. Stream이란?

스트림은 데이터나 이벤트가 들어오는 통로다. 앱을 만들다보면 데이터를 처리할 일이 많은데, 어느 타이밍에 데이터가 들어올지 확실히 알기 어렵다. 스트림은 이와 같은 비동기 작업을 할 때 주로 쓰인다.

예컨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받아서 UI에 보여주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언제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다 받을지 알기 어렵다. 신호가 약한 와이파이를 쓸 수도 있고, 빵빵한 통신을 쓰고 있을 수도 있다.

이런 문제를 스트림은 데이터를 만드는 곳과 소비하는 곳을 따로둬서 이 문제를 해결한다.

관찰(구독)
바뀐점 알려주기
관찰자-데이터소비
관찰대상-데이터생산

스트림에서 데이터의 추가나 변경이 일어나면 이를 관찰하던데서 처리한다.

일단 이해를 돕기 위해 스트림을 하나 만들어보자.

1초마다 데이터를 만드는 스트림이다.

10초동안 1초 간격으로 출력을 한다.

짧은 코드지만 스트림을 이해하기에 충분하다.

좀 더 설명을 해보겠다.

    1. Stream.periodic() 에서 일정시간마다 데이터(이벤트)를 만든다.
    1. listen()을 한다. 스트림에서 만들어지는 이벤트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2. 리슨에서 적은대로 데이터를 다룬다. 여기서는 listen(print) 라고 적었기에 출력만 한다.

      다르게도 한번 바꿔보자. listen((int number) => print(number + number)) 라고 적으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방금 전 코드를 그림으로 그리면 아래와 같다.

2.Listen
1.스트림 만들기
3.이벤트 처리

스트림은 항상 만들기 -> 연결(listen) -> 데이터 처리의 과정을 거친다. 하나라도 빠지면 안된다!

 

1.1. Stream - 여러 방법으로 스트림 만들기

스트림을 만드는 방법은 다양하다.

즉시 만들거나, 일정 시간마다 만들거나, 퓨처를 써서 만들 수 있다.

아래 예제를 보고 따라해보도록 하자.

이해가 되었는가? 반복적인 작업을 하고 싶다면 Stream.periodic()을 쓰고,

비동기 처리를 한다면 Stream.fromFuture()를 쓰도록 하자.

 

1.2. Stream - 처음, 끝의 데이터만 사용하기

스트림 데이터를 다루는 방법은 다양하다.

맨 앞의 데이터만 쓸 수도 있고, 맨 마지막의 데이터만 쓸 수도 있다.

위의 예제를 잘 보면 스트림을 쓸때마다 계속 새로 만들어준다.

여기서 드는 의문.

stream.first 를 실행하고 stream.last 를 바로 실행할 수는 없는걸까?

아쉽게도 안 된다. 스트림는 기본적으로 싱글 서브스크립션(Single Subscription)이다. 싱글 서브스크립션은 한군데서만 리슨할 수 있다. 여러군데서 리슨하려면 브로드캐스트(Broadcast)로 변경해줘야하는데 밑에서 알아보도록 하자.

 

1.3. Stream - 스트림 변경, StreamTransformer

map을 쓰면 스트림을 어느정도는 변경할 수는 있다.

하지만 map만으로는 복잡한 처리를 하기 힘들다.

StreamTransformer를 쓰면 스트림을 변경해 쓰기에 좋다.

map만 썼을 때보다 활용도가 높다.

1.4 Stream - async*, yield

함수를 써서 스트림을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아래 코드를 보자.

함수로 만든 스트림도 이전처럼 동작한다. 차이점은 async*와 yield를 써서 만들었단 점이다.

async*와 yield가 어떤 뜻인지 알아보자.

  • async* : async*는 제너레이터를 만든단 뜻이다. 제너레이터는 게으르게(lazily) 데이터 연산을 할 때 쓰인다. 게으르다는 건 미리 연산을 다 하는 게 아니라, 요청이 있을때까지는 연산 하는 걸 미루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처리하는 걸 뜻한다.
  • yield : return이랑 유사하다. return은 한번 리턴하면 함수가 종료되지만, yield는 열린 채로 있어서 필요할 때 다른 연산을 할 수 있다.

async와 async*는 다르게 쓰이니 차이를 잘 알고 넘어가도록 하자.

이제 스트림에 좀 익숙해졌을 거다.

스트림을 더 써보기 전에 내부 동작을 알아보도록 하자.

2. Stream 내부 동작 원리

스트림은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 Stream
  • StreamSubscription : 스트림과 이벤트의 연결고리, 이벤트에 변경이 생기면 처리한다
  • 데이터(이벤트)

아래 그림을 보고 각각의 역할이 어떤지 알아보도록 하자.

alt text

[그림1]

그림에서도 볼 수 있듯이 스트림은 이벤트 소스와 연결되어 있다.

  • listen 하기 전 : 강한 연결, 진한 화살표
  • listen 한 후 : 약한 연결, 흐린 화살표, StreamSubscription과 EventSource가 연결됨

앞에선 listen()에서 이벤트 처리를 하는 것 같았지만, 실제로는 StreamSubscription에서 이벤트 콜백을 다룬다. 새로운 이벤트가 생기거나, 에러가 생기면, StreamSubscription에서 이를 처리한다. 뿐만 아니라 StreamSubscription은 이벤트 소스와의 연결도 끊어버릴 수 있다.

StreamSubscription은 이벤트 처리를 콜백을 정해서 한다.

2가지 방법이 있는데 아래 코드를 보자.

  • onData, onError, onDone을 subscription에서 정의
  • listen 내부에 정의

사용법은 다르지만 동작은 동일하다.

취향에 맞게 사용하도록 하자.

 

Stream - BroadCast

기본적으로 만들어지는 스트림은 한 곳에서만 listen할 수 있다.

아래 코드를 실행해보면 에러가 난다.

여러 곳에서 listen을 하려면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해야한다.

실행하고 출력을 확인해보자.

여러번 리슨할 경우 각각의 데이터를 따로 처리하는 걸 알 수 있다.

같은 데이터를 다른 뷰에서 처리할 때 효과적으로 쓸 수 있겠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single - listen을 한번만 할 수 있음, 기본 스트림 컨트롤러임.
  • broadcast - listen을 여러번 할 수 있음.

alt text

[그림2]

3. StreamController

Stream을 매번 열었다가(listen) 닫는 건(cancel) 비효율적이다.

게다가 스트림이 여러 개일때는 모든 스트림을 일일이 닫는 건 비효율적이다. 여러 스트림을 관리하기 위해 StreamController를 쓴다.

아래의 예제를 보자.

스트림 컨트롤러에 데이터가 더해질때마다 값을 출력한다. 스트림 컨트롤러가 닫기 전까지만 이벤트를 처리한다.

아래 그림2을 보자. 위의 [그림1]과 유사한데, 스트림 컨트롤러만 추가되었다.

스트림 컨트롤러를 쓰면 여러 스트림을 한꺼번의 관리할 수 있기에, 앱을 제작할 때 도움이 된다.

 

alt text

[그림3]

 

마무리

스트림을 쓰면 비동기 상황에 대처하거나, 반응형 프로그램을 만들기에 좋다.

스트림을 익혀서 좀 더 쾌적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도록 하자.

다음에는 플러터에서 어떻게 스트림이 쓰이는지 알아보자.

참고 - https://www.dartlang.org/articles/libraries/broadcast-streams (그림출처)

참고 - http://dartdoc.takyam.com/docs/tutorials/streams/

반응형